[이미지 : 게티이미지뱅크]
변화의 시대, 기업이 생존하려면?
오늘날 기업 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기술 혁신의 속도는 가속화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니즈는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과거의 성공 방정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시대에 기업들은 어떻게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해답 중 하나가 바로 양손잡이 전략(Ambidextrous Strategy)이다.
양손잡이 전략이란 기존 사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혁신적인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경영 전략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한 경영 기법이 아니라, 기업이 장기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채택해야 하는 핵심 원칙이다.
세계적인 기업들은 이 전략을 활용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 또한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해야 한다.
양손잡이 전략의 개념과 필요성
양손잡이 전략이란?
양손잡이 전략은 탐색(Exploration)과 활용(Exploitation)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 탐색(Exploration)은 혁신, 신사업 개발, 신기술 도입과 같은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활동이다.
- 활용(Exploitation)은 기존 사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시장 내 입지를 공고히 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두 가지 요소를 효과적으로 병행하는 기업만이 급변하는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다.
단기적인 수익 극대화에만 집중하는 기업은 변화하는 환경에서 도태될 위험이 크며, 반대로 혁신에만 몰두하는 기업은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기 어려워진다. 결국, 두 가지 전략을 조화롭게 운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양손잡이 전략이 필요한 이유
1. 불확실성이 높은 시장 환경
전통적인 사업 모델은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 니즈와 기술 혁신 속도를 따라가기 어려운 상황이다. 기업들은 현재 사업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
2. 경쟁이 심화되는 글로벌 경제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되면서 스타트업과 대기업 간의 경쟁 구도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기존 시장을 지키면서도 신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3. 성숙 시장에서의 성장 한계
많은 산업이 성숙 단계에 진입하면서 기존 사업만으로는 지속적인 성장을 보장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 것이 기업의 장기적인 생존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양손잡이 전략의 성공 사례
1. 구글(Alphabet)
구글은 검색 엔진과 광고 비즈니스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동시에, 자율주행차, 인공지능(AI), 헬스케어와 같은 혁신적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구글은 Alphabet이라는 지주회사를 설립해 기존 사업과 혁신 사업을 분리하면서도 유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구축했다. 이러한 전략 덕분에 구글은 핵심 사업을 유지하면서도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2.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스마트폰과 반도체 사업에서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동시에, AI, 6G, 바이오 헬스케어 등의 미래 기술을 연구 개발하며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조직 내부에서도 연구 개발(R&D) 부서를 독립적으로 운영하여 기존 사업부와 혁신 사업부 간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3. 넷플릭스
넷플릭스는 DVD 대여 서비스에서 시작했지만, 스트리밍 시장으로 전환하면서 혁신적인 변화를 주도했다. 이후 자체 콘텐츠 제작을 통해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며 기존 사업과 새로운 사업 간의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다.
[이미지 : 게티이미지뱅크]
기업이 양손잡이 전략을 실행하는 방법
1. 조직 구조의 혁신
기존 사업과 혁신 사업 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조직 구조를 최적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많은 기업들은 기존 사업 조직과 혁신 조직을 분리 운영하면서도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기존 사업 조직: 운영 최적화, 비용 절감, 시장 점유율 확대에 집중
혁신 조직: 실험적인 접근, 창의적인 사고, 신기술 개발을 위한 환경 조성
구글의 X(Lab), 삼성전자의 C-Lab과 같은 조직 모델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러한 조직 구조를 통해 기업은 기존 시장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다.
2. 리더십의 변화
기업의 리더는 단순히 현재의 성과를 관리하는 것을 넘어, 지속적인 혁신을 이끌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탐색과 활용을 동시에 관리하는 리더십 역량이 필수적이다.
기존 사업을 운영하는 경영진과 혁신을 담당하는 경영진 간의 협업 강화
혁신 조직에 대한 독립성과 자율성 보장
실패를 용인하고 빠르게 피드백을 반영하는 문화 조성
3.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
혁신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실패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기업 문화가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아마존은 ‘실패를 혁신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구글은 직원들에게 개인 프로젝트를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는 ‘20% 룰’을 운영해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자연스럽게 나오도록 유도하고 있다.
4.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양손잡이 전략을 실행하는 기업은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AI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장의 변화를 빠르게 감지하고, 기존 사업과 혁신 사업 간의 최적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넷플릭스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도입해 지속적인 고객 만족을 실현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 전략
양손잡이 전략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기업이 장기적으로 생존하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략이다. 기존 사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동시에 혁신적인 변화를 수용하는 기업만이 급변하는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기업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기존 사업과 혁신 사업의 균형을 맞추는 조직 구조, 리더십, 기업 문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조화롭게 작용해야 한다. 앞으로의 경영 환경에서 양손잡이 전략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기업만이 미래의 시장을 선도할 것이다.
경영연구 및 사례분석 연구 : KBR경영연구소
저작권자 © 코리아비즈니스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