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지식사전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중요한 키워드를 선정하여, 많이 쓰이는 단어이긴 하나 잘 모를 수 있는 개념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의미와 예시를 통해 알려주는 섹션이다.
[이미지 : 게티이미지뱅크]
리쇼어링(Reshoring)은 해외로 이전했던 생산 공장이나 기업 활동을 다시 본국으로 되돌리는 경제적 움직임을 의미한다.
이는 글로벌화의 반대 현상으로, 최근 공급망 안정성과 국가 경제 보호를 목표로 하는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팬데믹, 무역 분쟁, 지정학적 리스크 등의 요소가 리쇼어링을 가속화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리쇼어링이 주목받는 이유
리쇼어링이 주목받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이유는 공급망 안정성으로, 글로벌 위기 상황에서 공급망이 마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산 기반을 국내로 옮기는 것은 기업의 생존과도 직결되며, 기업이 생산과 물류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다.
두 번째는 일자리 창출로, 본국으로 생산을 복귀시키는 것은 고용률을 높이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세 번째는 정치적 요인으로, 보호무역주의의 강화와 국가 간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자국 내 산업을 보호하고 경제적 자립도를 높이려는 정책적 움직임이 리쇼어링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리쇼어링의 주요 사례
대표적인 리쇼어링 사례로는 애플, 삼성전자, 나이키 등을 들 수 있다.
애플은 중국에 집중되었던 생산 라인의 일부를 미국으로 이전하여 자국 내 고용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일부 반도체 생산 라인을 국내로 복귀시켜 기술 주권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나이키는 동남아시아에서 의존하던 생산 공정을 본국과 가까운 지역으로 이동시키면서 비용 절감과 공급망 리스크를 동시에 줄이는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리쇼어링의 장단점
리쇼어링의 장점으로는 생산 공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물류비를 절감하며 소비자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그러나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제품 단가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며, 초기 이전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기업은 리쇼어링을 실행하기 전에 생산 비용, 운영 효율성, 정부 지원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미래 전망
리쇼어링은 디지털 기술과 자동화의 발전으로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국가 경제와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앞으로도 기업들은 생산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여 리쇼어링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며, 이러한 흐름은 지속적으로 강화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코리아비즈니스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